지난 2017년,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가 내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%가 넘는 초고령 사회로 들어설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말에는 70대 이상 인구가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20대 인구를 처음으로 추월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 같은 인구구조는 오는 4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도 고스란히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60세 이상 유권자 규모는 처음으로 20대와 30대 유권자를 합친 것보다 많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4월 총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18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4,400여만 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 중 60세 이상이 31.4%를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반면 20대와 30대를 합친 인구는 28%밖에 되지 않았는데 60대 이상보다 100만 명 넘게 적은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21대 총선과 비교해보면 변화를 더 뚜렷하게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대, 30대, 40대 모두 비중이 줄어들었는데 60대와 70대 이상은 큰 폭으로 증가해 4년 만에 유권자 지형이 크게 바뀐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오는 4월 총선은 처음으로 60대 이상 유권자가 젊은 세대보다 많은 선거로 치러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통상 노년층 투표율은 젊은 층보다 높죠. <br /> <br />세대별 역전 속에서 치러지는 첫 총선이라 노년층의 선거 영향력도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정치권이 노년층 유권자를 사로잡기 위해 기초연금 증액이나 정년 연장 같은 맞춤형 공약과 노인 복지 정책을 쏟아낼 거란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상대적으로 젊은 층은 소외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, 각 당의 선거 전략이 어떻게 펼쳐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유다원 (dawon081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11113064125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